본문 바로가기
[공부] 경제이슈, 주식, 부동산 공부하기

1월 12일 목요일 경제기사 공부하기

by 재테크 스터디윗미 2023. 1. 12.

- KS11 코스피 지수: 2359.53

- KQ11 코스닥 지수: 709.77

- GSPC  S&P 500: 3969.61

- DJI 다우존스: 33973.01

- IXIC 나스닥: 10931.67

조금 올랐다. 

 

1. 대출금리는 상승, 예금금리는 하락

- 현재 기준금리는 3.25%. 10년만의 높은 기준금리. 

- 대출금리는 최고 8%까지 올랐고, 예금금리는 5%찍었다가 4%대로 내려옴. 

- 정부가 큰 은행들에게 예금금리 적당히 높이라고 했고 (작은 은행들 위해서), 이제는 레고랜드 사태가 정리되어 채권발행이 가능해서져서 다른 자금 조달편이 생겨서 조정이 들어갔다. 

 

2. 중국 -아르헨티나 간 통와 스와프

- 아르헨티나가 페소를 중국 돈 350억 위안(우리돈 약 6조 4300억원)으로 바꿔서 외환 보유 창고를 채울 수 있게 됨. 

현재 페소화 가치가 떨어진 상태기에 위안화 보유시 아르헨티나 돈 가치도 올라갈 수 있음

- 중국이 남미에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것? 일대일로 프로젝트(다른 나라에 도로나 철도 등 지으라며 돈 빌려주고 비싼 이자 받으며 세계 경제를 쥐려하는 것)의 일환으로 볼 수 있을 듯.

 

3. 중국이 일본, 한국에 단기 비자 발급 중지함. 

- 중국의 코로나 19유행때문에 중국에서 오는 사람들 방역 규제 세게하자 보복함. 

 

4. 세계은행 전망 세계 경제 성장률 겨우 1.7%

- 인플레이션 여전히 심각하고, 금리도 올라서 자금 조달 어려우며, 러시아-우크라이나 사태 해결이 안되어 에너지 가격도 비싸기 때문임. 

 

5. 모더나 백신 가격 올린다. 

- 26달러에 정부제공 후 무료 공급-> 약국, 병원에 제공시 110~130달러까지 가격올라간다

 

6. 역전세난

- 금리가 크게 올라 전세-> 월세 전환하려는 세입자들 증가했지만, 집주인들 갭투자등으로 인해 보증금을 못주고 있음. 

- 기존 세입자 붙잡기 위해 집주인이 반대로 월세를 주는 경우까지 생겼음

- 빌라왕 사태 등으로 인해 집주인 신상을 꼼꼼히 살피는 세입자들 많아졌음

 

7. 특례보금자리론

- 소득 상관없이 9억원 이하 주택을 최대 5억원까지 대출받을 수 있는 대출상품. 

-기본금리 = 연 4.65%. 저소득 청년이나 신혼부부는 3.75%까지 

- 주택담보비율(LTV)최대 70%, 총부채상환비율(DTI) 최대 60% 적용을 받는다. 

- 23년 한해만 한시적으로 운영됨.